스택과 큐의 원리를 이용하면 스택으로 큐를, 큐로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 그 원리를 알아보고 코드로 구현해보자. 스택으로 큐 구현하기 큐는 선입선출의 구조로 데이터가 들어온 순서대로 나가게된다. 이를 스택 2개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스택 A와 B가 존재한다. 만약 큐에 PUSH하는 과정이 일어나면 스택 A에 PUSH를 한다. 이후 큐에 POP연산을 하게되면 스택 A의 모든 데이터를 스택 B로 옮긴다. 그렇게되면 스택 A의 역순으로 데이터가 저장될 것이고 스택 B를 POP하면 큐에 저장된 데이터 순서대로 출력될 것이다. 즉 스택 A는 인큐의 역할을 하게되고 스택 B는 디큐의 역할을 하게된다. PUSH를 하면 스택에는 가장 늦게 들어온 데이터가 맨 위에 쌓일 것이며 이를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