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루트 없는 트리가 주어진다. 이때 트리의 루트를 1이라고 정했을 때 각 노드의 부모 노드를 구하라 입력 첫째 줄에 노드의 개수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 트리 상에서 연결된 두 정점이 입력된다. 출력 2번 노드부터 부모 노드 번호를 출력한다. 접근 트리를 이해하고자 문제를 풀었다. 기본적으로 트리는 데이터를 삽입, 삭제하는 기능보다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이러한 계층적 관계를 파이썬으로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익혔다. 이 문제에서는 2차원 리스트를 활용하였다. 바깥의 큰 리스트에 포함되어있는 1차원 리스트는 자신의 자식노드 번호를 담고있다. 문제에서 1번이 루트노드라고 정했기 때문에 1번에 들어있는 자식노드부터 탐색을 진행하여 각각의 부모노드를 구하도록 하였다. 탐색..